보일러 시스템에서 응축수 회수율 증가와 블로우다운(Blowdown) 감소
1. 응축수 회수율 증가의 영향
1.1. 에너지 절감
회수된 응축수는 고온 상태이므로, 보일러 급수로 재이용할 경우 필요한 스팀량과 연료 소모가 줄어듭니다.
예를 들어, 응축수 온도 80도 기준 회수율을 70%에서 90%로 향상시킬 경우, 연료 사용량이 약 10~15% 절감됩니다.
1.2. 수처리 비용 절감
보충수 투입량이 줄어들면서 탈염수 제조, 약품 투입, 이온 교환 수지 재생 등 수처리 비용이 낮아집니다.
1.3. 배출물 저감
냉각탑 사용 감소, 폐수 배출량 감소 등으로 환경 규제 대응에도 유리합니다.
2. 블로우다운 감소의 영향
2.1. 에너지 손실 저감
블로우다운은 고온수 형태로 배출되므로, 그만큼 열손실이 발생합니다.
불필요한 블로우다운을 줄이면 유효 열 에너지 보존이 가능해집니다.
2.2. 화학약품 절감
블로우다운 빈도가 줄어들면 약품도 덜 손실되고, 보일러 수처리 비용이 줄어듭니다.
2.3. 배출수량 감소
폐수량 감소는 환경 부담을 줄이고 폐수처리비용 절감 효과가 있습니다.
3. 두 가지 요소의 상호 시너지
응축수 회수율 증가와 블로우다운 감소는 서로 연계되어 있습니다.
항목 응축수 회수율 증가 블로우다운 감소
급수 사용량 감소 동일
스팀/연료 소비 감소 감소
폐수 처리량 감소 감소
보일러 부식 가능성 감소 관리 필요
단, 회수된 응축수의 수질이 낮으면 오히려 TDS(총용존고형물) 증가로 블로우다운이 늘 수 있어, 응축수 수질 관리가 핵심입니다.
4. 향후 운영방안 제안
4.1. 응축수 회수 시스템 최적화
배관 손실 점검 및 응축수 라인 이중화 또는 보온 조치 강화
응축수 탱크 온도 유지, 이때 70도 이상이면 에너지 회수율이 급격히 증가
오염 방지 필터, 이물질로 인한 응축수 회수율 저하 방지
4.2. 블로우다운 제어 시스템 도입
TDS 센서 기반 자동 블로우다운 시스템 활용
수질에 따라 인터벌 제어 vs 연속 제어 방식 선택
급수 TDS 모니터링을 통한 블로우다운 최소화 설계
4.3. 공정 연계 방안
고온 응축수를 급탕, 세정, 난방 등 타 설비로 우회 활용
블로우다운수를 히트리커버리 시스템으로 연결하여 예열에 재활용
5. 정량적 목표 수립 예시
항목 현황 목표 비고
응축수 회수율 70% 90% 연료비 10% 절감 가능
블로우다운률 10% 4% TDS 관리 자동화 전제
연간 연료 사용량 100,000 Nm³ 85,000 Nm³ LNG 기준
연간 약품비 10,000천원 7,000천원 응축수 재이용 증가
6. 추가 고려사항
응축수 오염 리스크를 위한 오염 감지 센서 설치
배관 내 이물 퇴적 방지를 위한 주기적 CIP 또는 드레인
스팀 트랩 상태 관리 시스템을 통해 회수 안정성 유지